gif 파일의 경우 그림 파일의 한 종류이지만 여러장의 이미지를 한 파일에 저장하여 마치 동영상 처럼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요즘에는 움짤 만들기용으로 가장 많이 애용되고 있는 파일 형식입니다.

움짤이란 무엇일까요? 움직이는 짤방의 줄임말입니다. 그럼 짤방은 또 무엇일까요?ㅎ


"디시인사이드에는 글을 올리는 사람은 그 갤러리의 주제에 관한 사진이나 그림 1개이상을 첨부해야 한다"라는 독특한 룰이 있다. 예를 들어 개에 관한 주제의 갤러리라면 개에 관한 사진을 업로드해 올려야 하며, 사진이나 그림이 없거나 고양이나 전투기 등의 개와 연관없는 그림을 올리면 규칙 위반으로 알바에 의해 삭제가 된다. 이러한 점 때문에 업로드 하는 사람들은 삭제를 피하기 위해 그림이나 사진을 먼저 첨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짤방(짤림방지)라는 신조어가 생겨나게 되었다. 이 짤방은 앞서 서술한 짤림방지 역할 뿐만 아니라 사람들을 재미있게 하기 위하거나 자신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역할로 확대되었고, 이는 DC인사이드의 독특한 문화 중 하나가 되었으며 대한민국의 인터넷 문화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파생어인 움짤은 같은 목적을 가진 동영상을 지칭하는 말로 움직이는 짤방의 줄임말이다. - 출처 - 위키백과


이렇게 위키백과에 나와있더군요.. 그냥 움짤이 뭔지 궁금하신분만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어떻게 동영상 gif 파일을 만드는지 움짤 만들기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용할 프로그램은 GifCam 이라는 프로그램으로 설치하지 않고 바로 실행 가능한 간단한 프로그램 입니다. 없으신 분들은 아래에서 다운받아 실행하면 됩니다.



GifCam.exe



▼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작은창이 뜹니다. 이를 움짤을 만들 동영상 위로 옮긴후 크기를 알맞게 조절해 줍니다.




▼ 아래 처럼 유튜브 영상을 만든다면 영상크기에 맞게 조절한후 Rec을 누르면 바로 녹화가 시작됩니다.



▼ 이때, Rec버튼 옆에 세모 모양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옵션이 나오는데, 중요한 것은 FPS를 얼마로 설정할 것인가입니다. FPS라는 것은 1초다 몇프레임(장)을 생성할 것인지를 나타냅니다. 숫자가 높을 수록 동영상과 흡사한 GIF 파일이 만들어지지만 용량은 엄청나게 늘어납니다. 그러므로 웹에서 보통 이용할 것이기때문에 가장 낮은 값인 10 FPS로 선택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 Rec버튼으로 녹화가 진행될때 한번 더 누르면 정지가 됩니다.




▼ Edit 버튼을 누르면 아래처럼 녹화된 영상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저장 버튼을 눌러 원하는 경로에 저장을 해주면 됩니다.





▼ 아래는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간단한 움짤 이미지 입니다. FT아일랜드의 뮤직 비디오중 일부입니다.




간단한 방법을 통해 움짤 만들기를 해보았습니다. 프로그램 하나만 있으면 너무 간단하게 만들 수 있지요. 예전에는 포토샵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매우 복잡하고 힘들게 작업하곤 했지만 요즘에는 이런 케쥬얼 프로그램만 있으면 매우 간단히 작업이 가능합니다.

그럼 움짤 제작에 유용하게 사용하시기 바라겠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경제 안테나